블로그 이미지
.
속눈썹맨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언어학개론]4. 문자의 발달

2006. 6. 12. 00:14 | Posted by 속눈썹맨

. 차례
  . 문자의 장점
  . 문자의 발달 과정
   . 제 1기 : 기억 보조의 시기
   . 제 2기 : 그림문자의 시기
   . 제 3기 : 표의문자의 시기
   . 제 4기 : 표의문자에서 표음문자로 넘어가는 시기
   . 제 5기 : 표음문자의 시기
  . 필경사
  . 음성언어와 문자 언어

. 문자의 장점
  . 라틴 속담 : "입에서 나온 말은 날아가 버리고, 쓰여진 말은 남는 다."
   (Verba volant, scripta menent)" - 기록의 중요성
  . 프랑스 언어학자 Fevrier : 문자란 분절적이면 본질적으로 순간적인 말을
   고정하기 위하여 쓰이는 수단, 즉, 말을 적어 내는 것이요, 말과 그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요즘은 녹음기나 비디오도 가능)
  . 문자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ㅇ낳고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다.
  . 언어 집단의 구성원들은 학습을 통하여 문자를 이해할 수 있다.
  . 말은 자연스럽게 습득되지만 문자는 학습해야함.
   - 언어와 문자의 차이
  . 인간의 기억이 보존할 수 있는 정보의 양에는 한계가 있지만 문자에는 한계가 없다.
   - 시험, report, 숙제를 할 때도 이용
  . 문자는 그림으로부터 시작
  . 초기에는 특권계급만 문자를 사용

. 문자의 발달 과정
  . 제 1기 : 기억 보조(memory aid)의 시기
  . 조개껍질이나 노끈, 사자봉 등의 기억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의사를 전달한 원시적 서기법이다. 언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해보려는
   문자태동기의 원시형태의 문자
  . 대표적 보조 장치 : 결승, 사자봉, 패대
  . 결승(quipus) - 긴 새끼에 여러가지 색으로 염색한 노끈을 일정한 약속하에
   결승함으로써 색과 맺는 방법, 매듭과 매듭 사이의 간격 등으로 상호간의
   약속이나 결정 사실을 보유해 두는 방법
   . 고대 중국, 고대 페루, 티베트, 아프리카 에부족, 호주 등에서 사용
   . 페루에서는 현재도 양(sheep)을 헤어힐 때 수건으로 매듭을 표시
   . 일본 오끼나와에서 발견된 결승의 그림
  . 매듭, 패대(조개)

  . 사자봉(messanger stick)
   . 나무판이나 몽둥이에 여러 모양으로 새김을 나타내거나 여러 나무를 모아서
     우물정자 모양으로 만들고 채색하거나 나무의 수나 크기에 따라서 기억을 재생시킴으로써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
   . 오스트렐리아, 아프리카 지방의 토인들이 사용

  . 패대(wampum)
   . 조개껍질이나 구슬을 끈으로 매달아 기억을 보조하며, 크기, 색깔에 따라서
     복잡한 내용을 정밀하게 나타냄.
   . 말하는 사람이 자기 용건의 수대로 조개나 구슬을 노끈에 꿰어 한 용건이
     끝날 때마다 그 자개를 맞은 편에 건네주면서 상담한다. 이 패대는 신성한
     재판을 할 때에 비망적으로 사용하는 일종의 표식
   . 흰색은 평화, 붉은 색은 전쟁, 검은색은 죽음, 황색은 곡물,
     녹색은 곡물을 나타냄. - 현재도 비슷한 의미를 나타냄.
   . 예) 두 개의 조개껍질을 등을 맞추어 묶으면 '빨리 공물을 가지고 오라'는 뜻
   . 네 개를 두 개씩 맞대어 묶으면 '화해'의 뜻
   . 아프리카, 아메리칸 인디언, 호주, 스칸디나비아, 아이누족 등이 사용
   . 인디언 패대의 예
   . 수메르 시대의 물표와 비슷함.

. 제 2기 : 그림문자(pictogram)의 시기
  . 어떤 사물을 그림으로 나타내는 회화적 재현의 방법을 택한 시기
   . * : 태양을 의미함.
  . 실물에 가까운 그림을 그림으로써 사물을 나타내는 그림문자.
   좁은 의미의 원시적 회화에 한정함
   (넓은 의미의 pictograph(모든 그림)와 구별됨).
  . 아메리칸 인디언, 호주 원주민, 아프리카 일부 종족은 메시지를
   나무껍질이나 동물 가죽, 암성 등에 흔적을 남김.
  . 예술로서의 원시회화와 문자로서의 원시회화는 구별됨,
   문자로서의 그림은 정보 전달의 목적이 있으므로 상투적인 그림이 많이
   등장하며 통보에 필요 없는 배경이나, 산, 나무 등이 생략됨.
  . 그림이 인습화, 규약화함에 따라 체계를 갖추게 되고 일정한 그림을
   기본형태로 하여 완전한 그림문자가 됨.
   (그림처럼 자유롭지 않음.)

  . 추장 마이엥카의 원정공격 기록 - 아메리카 인디언 - 사냥과 포획물
  . 수메르, 이집트, 중국의 그림 문자.

. 제 3기 : 표의문자(ideogram)의 시기
  . 그림문자의 추상화 시기,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그림문자에서 발전하여
   그림이 사물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물과 관련된 개념도 표시하게
   되는 데, 그림이 하나의 상징적 부호로 발전한 시기의 글자.
  . 상징하고 기호와 실체 사이에 어느 정도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
   . 중국의 한자는 대표적인 표의 문자.
   . 예를 들어, '해'를 가리켰던 그림문자가 '빛', '열', '낮' 등의 개념도
     뜻하게 된다. 그림문자는 구체적인 사물은 나타낼 수 있지만 추상적인 개념은
     그림문자로 나타낼 수 없으므로 개념을 뜻하는 표의문자가 등장함.
   . 밝을 명이 '해'와 '달'보다는 '밝음, 똑똑함'을 뜻하고
   . 동녘동이 '나무에 걸린 해'가 아니라. east를 뜻하게 됨.

  . 중국어는 말의 소리를 기호로 적는 문자가 아니라 의미를 기호로 나타내는
   문자이므로 이런 표의문자는 장단점이 잇음.
   . 장점 : 중국처럼 방언이 많아 의사소통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말이 통하지
     않아도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를 사용하면 의미가 전달됨
     => 광동어, 북경어
   . 단점 : 의미의 차이에 따라 각각의 다른 부호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수의 문자를 외워야 함. 최소한 2,000여자의 기본 문자를 외워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문맹퇴치에 어려움이 잇음.

  . 단어문자(logogram: logographic writing)
   . 하나의 기호가 하나의 단어를 상징하던 문자.
   . 예를 들어, 최초의 태양을 *로 표시하던 그림문자와 O로 표시하던
     표의문자는 하나의 그리부호가 '태양' 혹은 '낮', '열' 등의 단어를
     의미하므로 단어문자라 함.
   . 1,2,3 등의 숫자, $, %, +, -, =
   . 현대의 그림문자 - 세계 만국어로 ISO 표준이 있다.
     . 다방, 흡연장소, 공중전화, 식당, 화장실, 비상구

. 제 4기 : 표의문자에서 표음 문자로 넘어가는 시기
  . 설형문자(쐐기문자)와 상형문자
  . 여러 문자체계가 공존하게 됨, 중간단계.
  . 문자가 사물을 시각적으로 표상하는그림에서 출발하여
   소리를 표상하는 기호로 가는 중간 단계에 설형문자와 상형문자가 있음.
  . 그림문자에서 설형문자까지
 
  . 수메르의 설형문자(cuneiform 18세기 Kampfer에 의해 명명됨;
   라틴어 cuneus '쐐기'에서 옴)
   .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기원전 3,300년 경부터 3,000년 이상 동안 사용
   . 수메르인이 가축의 숫자나 곡식의 양 등을 표시하기 위해 점토판 위에
     사용하던 문자. (물표 -> 항아리 -> 점토판)
   . 나무나 갈대 끝을 뾰족하게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어 점토판에 표시한 것으로
     그 삼각형의 모습을 따서 '쐐기' 같은 모양이라고 하여 쐐기(설)물자 또는
     설형문자라고 함.
   . '발'은 걷다. '일어서다'에서 '움직이다'의 뜻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 기호의 수는 줄어들게 되어 약 600여 개의 기호가 사용됨
   . 수메르인이 최초로 사용했던 문자는 일종의 표의문자였으나 기원전
     2600년 경 쿠심(Kushim) 점토판의 발견 이후로 문자는 사물을 직접
     그림으로 표상하는 것이 아닌 소리를 표상하는 글자가 됨.
   . 기호 수가 줄면 ambiguity(불분명)이 생김
   . 하나의 단어가 여러 의미를 나타냄 - 동음이의어
   . 과도기라서 여러 종류의 문자가 섞여 있음.

  . 레부스(rebus; 수수께기 문자) - 레부스 시스템
   . 진정한 문자 체계의 초석
     : 대상을 의미하는 기호를 직접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소리를
       그대로 전사하는 새로운 기호 체계로 발전
   . 표의문자 체계에서 표음문자 체계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기호 체계
   . 예) Car+Pet = '카페트'
     '수레'와 '애완동물'을 나타내는 설형문자를 나란히 적으면 '카페트'란
     소리를 그대로 옮겨 적는 셈이 된다.
   . 예) 4 + 자(물건의 길이를 재는 자) = 사자(lion)
   . 레부스 체계는 이즙트의 상형문자에도 많은 영향을 줌.

  . 암행어사의 비밀
   . 처녀가 어사의 정체를 알기 위해 밥상을 차려줌
   . 밥에 올린 뉘(쌀 속에 겉껍질이 벗겨지지 않는 쌀) 세 개로 시작된 물음.
     (뉘 x 3 = 뉘세요? (= 누구세요?))
   . 어사의 답 : 물고리 네 마리 - 생선 네조각 = 어사

  . Sumerian 설형문자의 진화
   . 갈수록 추상화 됨

  . 이집트의 상형문자(hieroglyph, 히에로글리프)
   . 그리스어의 'hiero 성스럽다'와 'glyphikos 새긴다'가 합쳐서 생긴 이름
     으로 '신성한 문자'를 뜻함.
   . 상형문자의 해독 - 로제타 석
     (표음, 표의, 상징 3가지 문자가 섞여 있음.)
     . 상형문자는 중세 이후 근대 초반까지 쟝 프랑수와 샹폴리옹
       (Jean Francois Cahmpollion, 1799)이 알렉산드리아시 근처의
       로제타 마을에서 로제타 석을 발견, 25년 후인 1824년 문자를 해독하기
       전까지는 단순한 그림문자나 표의문자로 인식됨.
     . 그러나 상형문자는 구체적인 대상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개념까지도
       완벽하게 나타낼 수 있었음 - 농업, 법전, 교육, 종교, 예배, 기타 문학
       일반 등 구어를 모두 기록할 수 있었음.
     . 표의문자와 표음문자가 혼합되어 잇음.
     . 1801년 나폴레옹을 패배시킨 영국군이 약탈하여 감.
       => 대영박물관 소장
     . 각 상형문자가 알파벳과 대응됨.

  . 이집트 상형문자의 예
   . 표의문자 : 오리는 구체적인 대상을 그림으로 옮긴 표의 문자.
   . 상징문자 : '태양의 오리'가 아니라 '파라오의 아들'
     (오리는 '아들'을 상징함)
   . 표음문자 : 오리가 'SA'라는 소리를 갖는 다.

  . 표음문자의 자모를 나타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모음을 표시하지 않았으므로
   각 문자는 음절을 나타낸다.
  . 독수리는 A의 음가를 가지고 있지만 '소리가 약한 자음'으로
   이러한 모음이 없는 특징은 페니키아 문자와 아랍문자에도 그대로 남아있다.
  . 모음의 수가 적거나 약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자음 사이의 생략된
   모음을 대충 집작하거나 암기하고 있다.
  . 히브리어의 야훼는 YHWH로 표기하지만 읽은 때는 '야훼'로 읽는 다.
  . p = pa, pe, pi, po, pu
   . 현대 모음생략의 예
     . bldg = building, hdqrs = headquaters
  . 상형문자의 기호는 처음에는 700여개에서 나중에는 7천여개까지 증가함.

  . 이집트의 문자로 살펴본 표음 문자
   . 그림문자가 '의미'를 나타내는 것에서 '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뀌는 과정은 이집트의 문자를 예로 살펴 볼 수 있다.
     초기의 이집트 문자는 앞의 표에서 살펴보았듯이 일정한 대상의 형태를
     모방한그림 문자였다. 그러나 이집트 문자는 점차 발전하면서 의미가
     아닌 소리의 기호로 바뀌기 시작했다.

   . 상형문자의 소리 - 클레오파트라, 알렉산드르.
     http://www.hieroglyphs.net/
   . 테두리를 치면 왕의 이름

  . 이집트 상형문자 알파벳과 그 소리값
  . 앞 페이지의 예 : '알렉산드르'와 '클레오파트라'에 해당하는 이집트 문자이다.
   이 문자는 언뜻 보기에 그림과 기호를 뒤섞어 놓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글쓰기의 방향과 기호의 발음을 알고 나면 이 문자가 매우
   과학적임을 알 수 있다.

  . 제시한 자료에는 사자와 새 모양의 형태나 이 그림은 사자나 새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사자와 새 모양의 형태는 그 자체가 아무런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은 소리의 기호일 뿐이다. 이집트 문자의 아래에 적어 놓은 알파벳과
   비교해보면, 사자 그림이 알파벳의 'L'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 이집트 문자의 세계 전파
   . 이집트의 문자는 이렇게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에서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로
     발전하면서 세계 여러 나라로 전파되었다. 현재 전세계 문자의 대부분이
     이집트 문자에 기원을 두고 있다.

. 제 5기 : 표음문자(phonogram)의 시기
. 표음 문자의 탄생
  . 그림 문자의 한계 : 형태가 분명한 대상들은 그림 문자로 표현하기가 쉬웠지만,
   "추상적인 대상이나 개념들은 그림문자로 표현하기가 어려웠다."

  . 그림 문자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 - 표의문자 :
   다른문자의 소리를 빌려서 쓰기도 하고, 이미 만들어져 있는 문자에 점 등을
   첨가하여 별개의 의미나 별개의 소리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 표의 문자의 한계
   그러나 이런한 일이 진행되면서 상대방이 그 문자의 의미를 잘못 받아들이는
   경우가 생겨났다. - 너무 갯수가 많음.

  . 표의 문자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 - 표음문자
   . 문자의 수를 한정하는 한편, 일부 그림 문자는 본래의 의미와 달리
     발음의 전부나 일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렇게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가 바로 '표음문자'이다.
     표음문자에는 음절문자와 음소문자가 있다.

  . 표의문자 : 문맹률이 높다. (중국) - 최소 2,000자.
  . 표음문자 : 문맹률이 낮다. (한국)

  . 표음문자(phonogram)
   문자 중에서 하나하나의 글자가 특정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고
   오로지 하나하나의 음성에 대응하여 그 발음을 나타낸 것.
  . 표음 문자의 효율성
   . '한자'가 표의 문자이고, 우리의 '한글'이나 영어의 '알파벳'
     일본의 '가나'는 모두 표음문자이다.
     영어는 불과 26개의 알파벳을 문자로 가지고 있지만,
     이를 조합하여 무한개의 단어를 만들 수 있다.
   . 표의 문자가 수없이 많은 문자를 필요로 하는 데 비해,
    표음문자는 불과 수십개의 문자로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표음 문자가 발달하면서 비로소 사람들은 수없이 많은
    문자의 형태와 그 문자가 지니는 복잡한 의미를 외어야 하는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 것이다.

  . 음절문자(syllabic writing)
   의미와 음성이 완전히 구별된 문자로, 문자가 불전음을 표시하게 됨.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음절을 표상
  . 현대의 대표적인 음절문자의 예
   일본의 가나 문자(가다가나문자)이며 그외에 키프로스 문자와 중국 남서부의
   롤로족의 문자가 있다.
   . 일본의 가다가나의 예
     . 카타, 모 같은 음정소리를 내기 위해 한자의 모양을 빌려다 씀.
     한자의 음만 빌리기도 함. 이때 이들 글자의 원래 의미는 사라진다.
     . 자음 10개 x 모음 5개 = CV 50개
 
  . 일본어와 같이 약 50개의 음절을 외우는 것은 쉽다.
  . 한국어 - 초성 19개, 중성 21, 종성 28 = 11,172개
   너무 많아서 외울 수가 없다.
  . 이 경우, 음절 문자의 효용성이 떨어지므로
   분절음을 표시하는 음소문자가 필요하게 된다.
   즉, 음소를 문자로 표상하는 문자가 탄생하게 도니다.
   한글, 영어나 유럽에서 사용하는 라틴 알파벳 등.
  . 음소문자 : 자음과 모음을 분리

  . 이두의 예 - 음절문자(한자에서 음만 따옴)
   . 이두 : 신라 때부터, 한자의 음과 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적던 방식, 또는 그 문자.
     . 무거을 - 없거늘(갈거, 새을)

  . 음소문자(phonemic writing)
   . 알파벳 문자, 자모문자라고도 함.
   . 문명이 낳은 최대 이점이며, 배우기 쉽고 인간의 어떤 말도 표기하기에
     효율적인 문자.
   . 자음 음소문자(또는 모음이 없는 음절문자)
     하나의 글자가 자음의 한 음소를 표상
     . 페니키아 문자, 가나안 문자, 히브리 문자 등.
   . 완전 음소문자
     하나의 글자가 자음뿐만 아니라 모음도 한 음소를 표상
     . 그리스 문자, 로마문자, 한글 등.

  . 페니키아(Phoenician) 문자
   . 지중해 연안(지금의 레바논)에서 해상의 통상이 활발했던 페니키아인이라는
     히브리족이 최초의 자음음소문자인 원시 가나안 문자를 이어
     받아 형태를 단순화하여 상요함.
   .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에서 온 것을로 추정됨.
     페니키아인은 기원전 1,500년경 이집트의 상형문자에서 이집트어의 의미를
     버리고 발음만 따다 쓰기 시작함.
   . 상형문자가 그 원래의 의미를 잃고 음가만을 지니게 되는 과정은 어떤
     언어가 외국어의 문자를 빌려 쓸 경우 더욱 더 쉽게 일어남.
   . 예 : 파라오 (Pharaoh)의 지팡이를 상징하는 상형문자가
     고대 이집트에서는 '지배', '통치'의 의미를 지니고, 발음이 [pi]라고
     가정하면, 이 상형문자의 발음인 [pi]가 외국에서 '닭'을 뜻한 다면
     외국에서는 [pi]가 통치를 뜻하지 않고 표기하게 된다.
     => 음차표기
     예) coffee => 커피
   . 기원전 1,100년경부터 1,000년 이상 사용.
   . 22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문자.
   . 페니키아인들의 공로는 문자의 발명이 아니라 활발한 교류를 통한
     문자의 서양 세계의 전파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알파벳의 시초를
     제공함.
     (모음이 없지만 모음의 음가를 넣어부름 = 자음음소문자)
   . 이집트, 그리스 간의 백향목 중계 무역

  . 완전한 음소문자의 시기
   한 자가 자음뿐만 아니라 모음도 한 음소를 표상
   . 대표적인 예 : 그리스문자, 로마문자(라틴 알파벳), 한글
   . 그리스 문자
     . alphabet은 그리스어의 첫 두 자모('alpha'와 'beta')의 명칭을
       합성한데서 유래.
     . 예) beta는 두 집의 모양에서 옴.
     . 페니키아어 자음 + 셈어 모음 => 그리스 문자.
   . 그리스 문자는 이후에 더욱 진화하여 셈어(아랍어나 히브리어)에
     있지만 그리스어에 없는 자음을 표시하는 문자를 그리스어 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함.
   . B.C 5세기에 들어서면서 그리스 알파벳은 자음 17개, 모음 7개의 24자로
     정착됨.
   . 예) 소를 뜻하는 셈어의 "alef(알레프)"는 셈어에는 흔한 후두음이지만
     그리스어에서는 이 후두 자음이 없으므로 이 문자를 모음 [a]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함.
   . 예) he는 '숨소리(epsilon)'를 뜻하지만 성문마찰음 h 없이 e로 불리게 됨.
 
   . 고대 그리스 문자는 이후 로마문자로 계승되어 오늘날 영어를 비롯하여
     유럽에서 사용하는 라틴 알파벳이 됨.
   . 한편, 그리스 문자는 9세기에 선교사 키릴로스가 동구 유럽으로 포교를
     하면서 슬라브어에 도입되어 모양이 변형된 키릴 알파벳(cyrillic alphabet)이 되었고, 오늘날 러시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함.
   . 그러나 한글은 진화한 것이 아니라 창안된 것.
     - 대단한 업적 (생일이 있는 문자)

   . 지구 상의 대부분의 문자는 표음문자이며 그중에서도 음소문자가 대부분이
     다. 표음문자라 하더라도 발음과 표기가 일대일의 대응을 이루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언어의 변천으로 문자에 의한 표기와 실제 발음과의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경우도 많다.

  . 페니키아 문자에서 파생된 알파벳 계보
   . 원시 가나안 문자 - 최초의 자음 음소문자
   . 고대 그리스 문자 -> 성서 -> 완전한 음소문자(로마, 그리스 문자)
   . 아람문자 -> 코란 -> 히브루 문자
  . 문자의 역사는 지리, 세계사, 정치, 역사 등이 엮여 있다.

. 필경사
  . 이집트 필경사 : 당시의 교육은 글쓰기를 가르치는 것
   . 암기해야 할 기호와 상형문자의 복잡성으로 오랜 기간 수련이 필요
   . 열 살때부터 학교에서 글쓰기를 배움
   . 받아쓰기와 베껴쓰기 등을 교육
   . 강력한 사회 계층을 형성,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기술 때문에 왕만큼
     위세가 있었음.
   . 메소포타미아 필경사가 진흙판을 이용한 반면, 이집트 필경사는 다양한
     필기 소재를 사용.
   . elite, 독점적 특권계층, 지배 권력
   . 한국도 양반, 부자만 서당에 다님.

. 5,000년 전 종이 - 파피루스
  . 파피루스 - 나일강 삼각주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
  . 밧줄, 매트, 샌들, 돛 따위의 재료.
  . 파피루스 줄기를 이용하여 종이와 유사한 필기소재를 만들어 글쓰기에
   혁명을 가져옴
  . 파피루스 줄기를 가느다란 조각으로 자르고 겹쳐 붙인 다음,
   이렇게 만든 한 켜 위에 다른 켤르 90도 각도로 덧붙임, 그 후 힘을 주어
   건조시켜 다시 닦아 낸 뒤 전분풀을 이용해 약 20장의 파피루스를 세로로
   이어 붙여 3.5~4.5m 또는 7~8m 길이의 두루마리 파피루스 용지를 완성하여
   사용
  . 필경사는 왼손으로 파피루스 두루마리를 왼쪽으로 밀어내면서 오른손으로
   써 내려감.
  . 파피루스에서 일반글씨는 검은 색, 왕의 이름만 붉은 색(잉크가 비싸서)


[언어학개론]3. 언어의 기원

2006. 6. 11. 22:51 | Posted by 속눈썹맨

. 언어의 기원 : 말은 언제 생겨났나? - 알 수 없으나 50만년 이내
. 언어 기원설 : 언어는 신의 선물인가? 아니면 인간의 발명물인가?
. 두뇌 및 음성기관의 발달과 언어의 기원
. 말은 어디서 생겨났는 가?
. 기원에 관해서는 정답이 없다.
. 언어가 생긴 이유 - 공동, 협력을 위해, 기술을 전수하기 위해

. 말의 기원
  . 우리말의 '말'의 기원은 찾을 수 없다.
   (다른 어떤 언어와도 다른 왕따이다. 일본어도 그렇다.)
   대륙한어, 반도한어, 열도한어
   고대 고구려어가 일본어의 기원인 것 같다.
   한국은 신라어가 지배적이 됨. (신라의 삼국통일)

  . 몽골어 kele는 '혀'와 '말, 말하다'의 뜻을 지님
  . 라틴어 langua는 '혀', '말'이ㅡ 뜻으로 해석
   . Lingere는 "핥다"의 의미인데, Lingua와 같은 뿌리의 단어임
  . 우리말의 "혀"와 "핥다"는 라틴어와 같으나,
   "말"과 "혀"의 관계는 라틴어와 몽골어와 다름.

. 언어의 기원
  . 화석으로 발견된 최초의 인류 조상은?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로 약 400만년 전
   . 석기를 사용했던 호모 하빌리스는 약 200~450만년 전
   . 우리의 조상으로 정교한 도구를 사용했던 호모 사피엔스는
     약 10~20만년 전 - 언어를 사용
     . 문자의 기원 : 기록은 기원전 4천년경의 수메리안의 비문
       (6천년의 역사) => 문자의 기원 수업 참조

  . 언어는 대략 500만년에서 700만년의 시간동안 점진적으로 진화되었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보편적임
  . 인간의 언어는 도구를 사용하던 시기에 시작되었을 것
   Homo erectus에서 Homo sapiens로 넘어가던 시기인 신석기 중간쯤인
   약 50만년 전으로 추정됨, 언어의 발달이 두뇌의 진화와 관련이 있다고 볼때
   50만년 전 이전에 언어가 발생했다고 보기 힘듦 - 석기 제조범과 관련
  . 언어는 신의 선물인가? 아니면 인간의 발명품인가?

. 언어 기원설
  1. 의성설(bow-wow theory, 멍멍설)
   . 개, 꾀꼬리, 개구리, 뻐꾸기 등의 의성어가 보여주듯, 언어는 동물의
     울음소리를 흉내 내려는 데서 시작.
   . 언어가 자연을 모방하는 소리에서 점차적으로 진화.
   . 18세기 독일의 철학자 Leibniz에 의해 제창, 미국 언어학자 Whitney가 동조
   . Max Muller는 bow-wow설이라고 함.
   . 반론) 그러나 의성어가 아닌 말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2. 생득설(ding-dong theory, 땡땡설)
   . 종을 치면 "땡"하는 소리가 나고, 땅을 치면 "땅"하는 소리가 나고,
     손벽을 치면 "짝"하는 소리가 나는 것과 같이 사물 고유의 소리를 인간이
     지각하는 대로 표현하려는 데서 언어가 시작되었다는 설
   . 아리스토텔레스의 명명설이 여기 속함
   . 언어의 기본적인 어휘들은 이미 자연속에 존재해 잇는 소리들을 그대로
     흉내낸 것에 불과하며, 사물의 본질과 언어 형태와의 사이에는 불가분의
     자연적 관계가 성립되어 있음.

  3. 간투설(pooh-pooh theory, 쯧쯧설) - 감탄사
   . 슬픔, 무서움, 놀람, 고통스러움, 화가 났을 때의 규성, 부르짖음, 감동의 소리, 등 "오오", "저런", "쯧쯧" 등과 같이 언어는 감정의 표현에서 내는 소리에서 시작되었다는 설
   . 아(oh)와 같은 본능적, 정서적 외침에서부터 인간의 발화가 시작되었고,
     이것이 언어단위(speech unit)의 기원을 이룬것이라는 Rousseau(루소, 18세기
     낭만주의 철학자)의 언어기원설
   . 인간은 몸짓 -> 감정적 발성 -> 구체적인 사물에 이름을 붙임
     -> 추상적인 사물에 이름을 붙임 -> 단문 -> 복문

   . 반론)
     . 모든 언어는 개별 언어로서의 특징이 있을 뿐이지 미개어나 문명어가 따로 있지 않다.
       - 민족우월주의를 배척하기 위한 반론(사회언어학적)
     . 감탄사와 추상어는 엄청난 질적인 차이가 있으므로 무리없이 이들이 연계된다는 것은 잘못이다.

  4. 노동설(grunt theory, 끙끙설) - 협력이 필요해서
   . 사람들이 공동 작업을 할 때, 그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힘을 쓰면서 소리른 내며, 그 소리에 맞춰 율동적인 동작을 했는 데,
     어려운 일일수록 남의 도움이 필요하고, 협력을 요하는 일일수록 통화가
     필요하므로 언어가 발생했다는 설.
   . 성대가 울려 끙끙거리는 소리(grunt), 무거운 짐에 시달리는 소리(groan),
     신음소리 등
   . 영국의 사회학자(Diamond, 1957)
     언어의 역사와 기원에서 비슷한 주장을 함.

  5. 가창설(sing-song theory)
   . 덴마크의 언어학자 Jaspersen(1922)은 언어의 본질, 발달, 기원에서
     인간의 감정을 아름답게 노래로 표현하기 시작한 것이 언어의 기원이
     되었다는 시적 표현설을 제창
     . 원시적 언어에서 서로 다른 성의 주의를 끌기 위하여 경쟁을 하고 있는
       젊은 남녀의 웃음소리를 듣는 다. 이는 모두가 자기쪽으로 경탄의
       눈초리를 보낼 두 눈을 유혹하기 위해 가장 즐거운 노래를 부르고
       용감한 춤을 추는 시절이다. 언어는 인류의 사랑의 시절에 생성되었다.
       최초의 발화는 지붕 위에 고양이가 밤중에 내는 사람의 울음소리와
       밤마다 노래하는 나이팅겔의 운율적 사랑의 노래와 조화되는 것이다.

  6. 신수설(phusei theory)
   . 언어는 신에게서 받았다. - 언어는 신의 선물
   . 이집트 - 토트신이 이집트어를 만들어 줌
   . 힌두 - 사라스바티하는 여신이 힌두어를 만들어 줌
   . 언어가 신의 선물이라는 잠재의식의 예
   . 흰두교 - 힌디어의 조어인 산스크리스트어를 사용
   . 코란 - 고전 아랍어를 사용
   . 천주교 - 라틴어를 사용
   . 16세기 - Bacanus - 독일어는 가장 완전한 언어이므로 독일어는 신의 언어
   . 17세기 - Kemke - 스웨덴어는 신의 언어
     (자기 나라의 언어의 우월성을 주장)

   . 기독교 - 신의 의사전달 수단이 언어
     .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하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라"
     . 바벨탑 이야기(창세기 11장)
       . 최초의 언어는 하나였는 데, 그것은 히브리어이다.
       . 인류는 지구의 어떤 시점에서 발생되어 처음에는 단일어를 사용하였으나
         인간들이 사방으로 흩어져 나중에 여러 갈래의 언어로 분화되었다.
       . 언중이 하나의 공통된 기호체계를 통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 인간의 타락은 언어의 혼란을 가져오며 언어의 혼란은 결국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하지 못하여 멸망으로 이끈다.
         - 탑 쌓기를 방해

  7. 기타
   . 도움을 청하거나 멀리 내용을 알리기 위하여 일부러 멀리까지 들리도록
     소리 지르던 것이 언어의 기원(yo-he-ho theory)
   . 인간의 행동과 연관성이 잇는 소리를 만들어 내기 시작하면서 언어가
     나타났다고 주장하는 설(ta-ta theory)
     예를 들어 혀의 앞부분을 입천장에 두 번 연속적으로 접촉시켜
     'ta-ta'와 같은 소리를 생성하고, 이를 잘 하라는 표현인 '안녕'을
     표시할 수 있다.
   . 종교 의식과 관련된 춤이나 주문에서 찾는 종교의식 기원론
     (ta-ra-ra-boom-de-ay theory)

. 언어의 기원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
  . 기원전 7세기 이집트 파라오의 삼티크(Psamtik I세, 664~610, B.C)
   . 두 아이를 고립하여 가두어 두고 처음 발성한 단어를 조사
     . "bekos(베코스)"
     . 프리지안어 - '빵'
     . 염소의 울음소리를 베코스라고 들었을 것이라 추측

  . 기원후 1500년 스코트랜드의 제임스 4세의 실험결과 히브리어를 최초로 말함
   . 그럼 프리지안어나 히브리어가 최초의 언어인가?
     자기들에게 유리한 해석을 하는 것일 뿐임.


  . 야생아의 예(반례 1)
   . 1920년 인도에서 발견된 카말라와 아말라의 두 소녀를 벵갈 주의 미드나포어라는 지방의 늑대 소굴에서 발견
   . 8세의 카말라와 1년 6개월의 아말라
   . 두 손과 두 발로 기어 다니며 음식을 혀로 햝아 먹으며 하룻밤에 세번씩 짓음
   . 아말라는 병으로 죽고 카말라는 약 4년 동안 45개의 단어를 습득하고 이질로 죽음.

. 언어의 기원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
  . 고립아의 예(반례2)
   . 이자벨(Isabelle) - 사생아로 어머니가 이를 숨기기 위해 갇혀 살게 됨.
     6세 반에 오하이오주에서 발견된 이후 언어를 완전히 습득함.
   . 지니(Genie) - 14세의 소녀로 로스엔젤레스에서 갇혀 살아 오다가 발견됨 모국어인 영어를 마치 외국어처럼 배웟는 데, 이는 선천적인 언어습득 능력이
     두뇌에서 사라진 다음에 언어를 배워서 그런 것으로 추정됨.
     결정적 시기가 지나면 언어 습득이 잘 안됨.
     - 외국어 배우기가 모국어보다 어려움

. 두뇌 및 발성기관의 발달과 언어의 기원
  . 후두가 밑으로 내려감
  . 인간의 언어는 소리와 의미의 독립된 체계를 가지고 있다.
   . 앵무새는 음성체계가 발달하였으나 의미체계의 결여로 언어를 갖지 ㅁ소한다.
   . 침팬지는 의미체계를 습득할 수 있더라도 음성체계의 결핍으로
     인간다운 언어를 구사하지 못한다.
   . 의미체계의 습득을 가능케 하는 두뇌의 진화와 음성체계의 실현을
     가능케 하는 발성기관의 진화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이를 연구하면
     언어의 시발점을 알 수 있지 않을 까?
     (생리학과 고고인류학 리버만 교수팀)
     . 언어는 지능이 발달해야 쓸 수 있음.

. 두뇌의 진화와 언어의 기원
  . 지능의 함수는 두뇌의 용량
   . 3백만년 전 오스트랄로 피터쿠스 아프리카누스의 두뇌 용적
     : 400~450Cm^3 (오늘날 원숭이의 두개 용적과 같음)
   . 2백만년 뒤 직립원인인 호모 에렉투스의 두개용적
     : 900Cm^3 (약 2배)
   .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용적
     : 1,400Cm^3 (약 3배가 넘음)

   . 불의 통제, 사냥의 필요한 도구의 발명과 사용, 협력과 단체 행동의 필요성
     등, 사회생활이 복잡해짐에 따라 두뇌가 증대하기 시작했고, 두뇌가 발달
     할수록 더 복잡한 생활이 가능해 졌으며, 두뇌와 환경이 서로서로 증가시킴.
     (두뇌, 도구, 언어)

  . 언제 병아리(언어)가 태어났는 지 를 알 수 없다면 알껍질(유물)의 흔적을
   통해 우리는 병아리의 생일과 출생지를 짐작할 수 있음.
  . 알껍질은 무엇인가? 화석이나 고고학적 유물로써 그것이 제조되려면
   언어만큼 복잡한 현상을 구사하는 데 필요한 두뇌력을 전제로 한다.
  . 유물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면 언어도 그때쯤 발생하지 않았을 까?
   라고 추정해 볼 수 있다. 왜냐면 언어의 출현을 위해서는 최소한 그만한
   유물을 만들어 낼 수 있을 정도의 지능을 소유하고 있어야 하니까.

  . 도구의 사용
   . 약 100만년 전 구석기 시대의 부싯돌이나 손도끼는 목적물과 비슷한
     돌덩어리를 골라서 모서리만 조금 다듬어 사용, 단선적인 두뇌만 필요
   . 초기 구석기 시대의 손도끼

   . 약 50만년 전 구석기 중엽에는 르발롸지안(Levalloisian)법에
     의해 석기가 제작됨 - 고갱이 돌(core stone)을 구해 모두돌 위에 얹어
     놓고 돌망치로 치거나 가슴팍의 힘으로 눌러 돌껍질을 벗기는 방법,
     돌껍질이 바로 부싯돌이고 창의 촉이 됨.
     어느 크기의 돌조각을 어떤 모습으로 쪼아낼까 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돌을 쪼음. -> 언어를 사용할만한 지능이 생김
   . 구석기 중엽의 석기 제조법과 석기


  . (숲 -> 들) -> 직집보행 -> 손이 자유로워짐 -> 도구의 사용 -> 두뇌의 발달 -> 언어 사용

  . 고고학적으로 이런 추적적인 두뇌의 최초의 산물이 약 50만년 전의 르발롸지안법의 석기임으로 언어의 출현도 이보다 뒤지면 뒤지지 앞설 수는 없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함.

. 발성기관의 진화와 언어의 기원
  . 침팬지는 인간과 달리 여러가지 다른 말소리를 낼 수 없다.
   . 인간은 성문이 목 가운데 위치, 원속의 경우 목위에 위치
   . 인간은 구강과 인두가 합해서 ㄱ자 모양의 이관형 기관을 갖고 있으나
     원속의 경우, 인두의 부재로 구강 하나만으로 구성된 일관형 기관을
     가지고 있음.
   . 이관형 - 공명관이 있어 다양한 소리가 발성가능.


  . ㄱ자 모양의 이관형 공명관은 상대적인 길이를 바꿀 수 있어 다양한 소리가 나올 수 있다.
   . 혀의 앞뒤와 아래위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구강과 인강의 상태적 크기를 변화시켜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잇음.
   . 인간은 원속동물에서 진화하면서 성문의 하강을 겪었고,
     이와같은 성문의 하강은 언어 발생에 필요한 진화였음.
   . 태아의 경우 성문이 목보다 더 높이 올라가 있음.
     어른이 되면서 내려 옴
   . 성문의 하강은 언어의 발성을 목표 때문이 아니라 네 발로 기는 자세에서
     두 발로 서서 걷는 자세로 바뀌면서 앞을 내다 보기 위해 쳐들었던
     수평적인 머리와 고개의 위치를 수직적으로 적응시키는 과정에서 성문이
     내려간 것으로 추정됨 => 직집보행

. 정리
  . 공간인식, 윤곽잡기, 형체 파악 등의 작용을 오른쪽 두뇌가 담당하는 반면
   언어는 도구사용을 비롯한 분석적 행위를 담당하는 왼쪽 두뇌가 담당한다는
   사실도 인류 선사시대의 도구의 발달과 언어의 발생이 결부되어 있음을 시사
  . 약 50만년 전 호모 이렉투스(직립원인)에서 호모 사피엔스(이성인)로 될
   즈음 두뇌용적이 약 1,000Cm^3에 달할 때 성문이 하강하였을 때라고
   할 수 잇음.

. 그림 -> 표의 -> 표음 -> 음절 -> 음소문자

. 차례
  . 언어 유전자 'FOX P2'
  . 동물의 의사소통
  . 인간과 동물의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

. 언어와 관련된 유전자 - 'FOX P2'
  . Linne(스웨덴 생물학자)
  . 인간을 언어적 인간 : Homo loquens
  . 2001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모나코 박사팀은 정확한 발음을 내기 어렵고
  말소리의 구별과 문장을 이해하거나 문법적인 면을 판단하는 데 장애가 있는
  가계 구성원들의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FOX P2'라는 유전자의 이상으로
  이 장애가 발생한다는 것을 발표
  . 언어장애자 14명에게서 'FOX P2' 유전자에 있는 715개의 아미노산 중
  1개가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을 밝힘
  . 2002년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파보 박사팀은 인간과 침팬지의 FOX2를 비교 하여 2개가 다름을 발견

. 동물의 의사 소통
  . 인간과 동물의 언어는 어떻게 다를까?
  . 동물의 신호
  . 어류 : 10~15개
  . 조류 : 15~25개
  . 포유동물 : 20~40개
     . 원숭이 : 36개

  . 앵무새
  . "새도 말을 해요"
  . 앵무새는 사람의 말을 무의식적으로 모방할 뿐, 일정한 의미를 이루는
     복잡한 사고에서 나온 조직화된 소리를 내지 못함.

  . 불개미
  . 먹이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집으로 돌아올 때 냄새 나느 화학물질을
     내뿜어 자취를 남겨, 다른 개미들이 찾아갈 수 있도록 후각적 신호를 보냄

  . 영리한 한스증후군(Clever Hans Syndrome)
  . 20세기 초 베를린의 폰 오스텐(Karl von Osten)이라는 수학교사의
     말(horse) Hans는 수도 세고 언어도 이해하는 것으로 알려짐
  . 주인이 숫자를 말해주면 숫자에 맞게 말발굽을 땅을 침
     . 셋 더하기 넷은?
     . 열 빼기 다섯은?
  . 정답이 왔을 때 군중들의 표정을 보고 발굽으로 땅을 침.
     군중의 표정을 보지 못하도록 하니 계속 답을 모르고 계속 땅을 침.
  . 숫자를 세고 말(language)을 알아 들을 수는 없음 ~ 말(horse)의 한계

  . 꿀벌의 통신
  . 오스트레일리아 동물학자 카알 폰 프릿쉬(Karl von Frisch, 1886~1982)
     . 1965년에는 '꿀벌의 댄스 연구'라는 저서를 완성.
       1973년 닠ㄹ라스 틴베르헨과 곤라트 로렌츠와 함께 노벨의학생리학상 수상
     . '수확댄스'라고 불리는 데, 야외에서 꿀이나 화분을 모아 자기 벌집으로
       돌아온 꿀벌에 의해 벌칩판 위에서 춤을 춤
     . 프릿쉬는 수확댄스에 '원형춤'과 '8자형춤' 및 '꼬리춤' 3종류가 있는 것을 발견
     . 꿀벌이 꽃이 잇는 거리와 방향 및 꿀의 품질까지 말 대신으로 춤으로
       동료에게 전하여 자기가 소속하고 있는 벌집의 유지와 번영에 공헌하고
       있는 것을 약 40년 걸려서 규명

  . 유럽꿀벌의 원형춤과 8자형춤
  . 춤이 활기를 띨수록 품질이 좋은 꿀
  . 거리와 춤의 종류
     . 먹이가 10m이내에서는 원형춤
     . 먹이가 20m정도에 있을 때는 8자형 춤
     . 먹이가 20m에서 100m 이상에는 꼬리춤

  . 거리와 꼬리춤의 회전수
     . 꼬리춤의 속도가 매일 변하는 것을 보아서 춤 속도와 먹이와의
       거리가 관계가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먹이와 벌통간의 거리를
       측정한 바 다음과 같은 자료가 나왔다.
     . 거리가 가까울수록 꼬리 춤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거리에 따라 회전수가 달라지는 것을 알았다.
       . 15초 안에 열 번 돌명 100m, 여섯 번 돌면 500m, 네 번 돌면 1500m
         비교적 정확히 교신함.

  . 꿀벌은 정해진 신호 이외에는 하지 못하나?
     . 오직 한 가지 먹이에 관한 정보에만 국한되어 있으면
       전달내용도 먹이가 있는 곳까지의 거리와 방향, 질에만 국한됨
     . 사랑이나 증오의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이 없다.
     . 꿀벌을 날지 못하게 하고 꿀이 있는 곳으로부터 벌집까지 기어오도록 한
       결과, 벌은 실제 거리보다 25배 먼 것으로 신호함.
     . 꿀통을 50m 높이의 나뭇대 위에 올려 놓으면 위치를 가르쳐주지 못함.
       10Km의 수평선상의 거리를 알리는 방법은 있어도 50m 위나 아래를
       알리는 수직선상의 개념이 없어서 벌들은 서로 엉뚱한 신호를 하여
       우왕좌왕함.

  . 침팬지 - 인간과 가장 가까움
  . 침팬지는 인류의 사촌?
     . 인간과 침팬지는 DNA의 98~99%를 공유함
     . 200~300개의 단어 외울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단순한 문장도 만들 수 있음.
     . 수화도 함, 언어발성은 안됨.
     . 도구를 사용(token 꺼내기, 사용하기)
     . 생후 10개월까지는 인간과 침팬지 사이에는 인지능력의 차이가 거의 없음.
     . 차이는 그 이후에 생김(아기의 발성기관은 동물과 비슷)
  . 유인원이 말을 못하는 이유? - 발성기관이 다름.
  . 침팬지와 인간의 언어의 차이 : 침팬지의 언어는 본능적이고, 무의식적이다.
  . 최소의 인간의 언어는 음성과 제스처이다.
  . 침팬지에게 인간의 언어를 배워주기 - 동물학자들의 실험
  . 인간과 동일한 생활환경에서라면 인간다운 언어를 습득할 능력이 있을 지도
     몰느다는 가정하에 대체로 부부팀이 갓난 침팬지(흔히 암컷)를 마치
     자기 아이를 기르듯 집안에서 데리고 기르면서 언어를 가르침.
     16개월만에 100개 단어를 배움.

  . 구아 : 말을 시키지는 않고, 말을 알아듣도록만 가르쳤는 데.
            16개월만에 약 100개의 어휘를 구별해서 알아들음
  . 비키 : 발성을 처음 배운 것은 비키인데, 서너 단어를 말함.
     비키의 빈약한 어휘는 침팬지가 언어를 배울 수 있는 두뇌의 능력이 없어
     서가 아니라 발성기관이 인간과 달라서라는 가정 하에 미국수화어
     (American Sign Language)를 와쇼에게 가르침.

  . 와쇼 : 1세 이후 기호언어를 배우기 시작. 14세에 250개까지 배움
     . 기호
     . 기호를 결합하기도 함.
       baby mine, you drink, hug hurry, give-me flower
     . 합성명사의 임의적 수화
       . 백조 : water bird
       . 수박 : water cake
       . 오이 : green banana
       . 말라빠진 빵 - cookie rock

  . 쌔러 : 플라스틱으로 실물과 전혀 다른 기호를 만들어 이 기호를 가지고
     통신하게 만든 실험
     . 사과 : 보라색 삼각형
     . 바나나 : 붉은 색 정사각형
     . 적색 : 회색, 황색 : 흑색, 갈색 : 청색, 녹색 : 백색
     . 문장 만들기 실험
       . apple and banana different
       . chocolate brown color
       . If Sarah put red on green, Mary give Sarah chocolate.
       . If Sarah take banana, Mary not give Sarah chocolate.
     . Premack은 괄호 속의 단어가 생략된 것까지도 알고 있었다는 증거?
     . 침팬지의 놀라운 언행은 우연인가? 일관적인가?
       - 정확한 답은 알 수 없음.

  . 님 침스키
     . 99%의 경우 훈련사를 흉내 내어 되풀이한 경우이고,
       자발적인 경우는 12%에 불과하다.
     . 침팬지의 경우 인간과 같은 창의성이 없다.
     . 침팬지는 자발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으로 먹을 것을 받기 위해
       받기 위해 행동 - 자발적 의지는 없음, 먹이를 줄 때만 함.

  . 돌고래
  . 바다의 원숭이 - 돌고래
  . 사람의 두뇌와 같은 크기를 가지고 잇을 뿐 아니라 뇌 피질의 표면도
     사람과 같이 얇게 주름 잡혀 있으.ㅁ
  . 입체음향을 내며 다른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한번에 2~3가지의 신호를 냄
     . 혀 차는 소리 : 레이더 역할을 하여서 앞에 장애물이 있는 지 알아보는 데 사용
     . 휘파람 소리 : 혐오감
     . 꺽꺽거리는 소리 : 구애

. 교육이 가능한 동물
  . 침팬지, 고릴라, 돌고래, 새 등은 조건 반사적으로 혹은 상을 받기 위해
  사람이 가르친 대로 반응을 보임.
  . 너구리, 돼지, 닭 등은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음(지능이 낮음)
  . 닭 : 칩을 부리로 쪼아댐(플라스틱을 쪼기만 함)
  . 돼지 : 주둥이로 내던지고 휘저음
  . 너구리 : 문지르고 씻었음.
  . 아무 동물이나 교육이 되는 것은 아님.

. 인간과 동물의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
  . 인간의 의사소통 능력 vs 동물의 의사소통 능력
  . 소리와 의미를 결합시키는 능력 - 소리를 낼 수 있는 능력(의미체계와 소리체계 결합이 안됨)
  . 사고의 전이 긴으(사고하면서 계속 언어를 만들어냄) - 소리로써 상호이해는 하나 사고의 전이는 불가능함.
  . 조직화된 사고의 동기로 언어를 사용 - 훈련에 의하여말을 하는 것, 사용은 모방일 뿐이며 무의식적인 것
  . 선천적 언어능력을 지님 - 동물에는 조정형(streo-type)이 있을 뿐임.
  . 말소리를 수단으로 한 복잡한 전달체계를 가지며 발전적으로 변화 가능
     - 옛날부터 동물들의 신호체계는 변화 발전이 없음.


[언어학개론]1.언어와 언어학

2006. 6. 11. 18:47 | Posted by 속눈썹맨

. 언어학개론 => 언어의 이해

. 강의 목표
  . 언어의 탄생에서부터 소리, 문자의 신비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며, 지구촌의 다양한 언어현상을 접해보고,
  우리말과 글에 대해 이해한다.

  . 언어학의 하위영역을 공부하고, 언어학과 인접학문 및 일상생활과의
  상관성을 올바로 파악하여 인간의 언어능력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 이해한다.

. 세종대왕이 만든 것은 한국어가 아니고 한글임.
. 한국어가 internet처리에서 나은 점
. Automata, 문자메시지, 자판(2~4벌식)
. 한글과 다른 문자의 관계(비교).
. 음절문자 - 이두
. 문자의 진화
. 창제자가 존재하는 문자 (세종대왕)
. '한국어'보다 '한글'이 연구하기 쉬움
. 한국어의 어원 - 추적이 쉽지 않다.
. 언어보다 문자가 추적이 쉽다.

. 도입
  . 언어란?
  . 언어의 특성
  . 언어의 기능
  . 언어학이란 무엇을 연구하는 학문?
  . 이론 언어학의 하위 연구분야
  . 인문학의 여러 분야와 언어학의 관계

. 언어란?
  . 의사소통의 수단?
  . 인간과 동물을 구분해주는 인간 고유의 특성?
  . 언어는 사상을 담는 그릇?
  . 소리와 의미를 가진 기호체계 - 기표, 기의 - 소쉬르.
  . 언어의 기능은 무엇인가?
  . 언어가 얼마나 복잡한 시스템이기에 외국어를 배우기는 왜 이렇게 힘든가?
  . 이 세상 언어들의 공통적인 특성은?
  . 언어가 없다면 우리는 어떻게 어떻게 생활할까?
  => 언어의 정의를 한마디로 대답하기 힘들다.

. 인간생활에서의 언어
  . 정상적인 대화에서 시간당 4,000 ~ 5,000단어
  . 라디오 담화에서 시간당 8,000 ~ 9,000단어를 사용
  . 정상적인 속도로 독서하는 사람은 시간당 14,000 ~ 15,000 단어를 사용
  . 잡담 1시간 + 라디오 담화 듣기 1시간 + 독서 1시간
  = 약 25,000개의 단어를 접함
  . 하루에 100,000개의 단어를 사용

. 인간의 의사전달 방법
  . 언어적 방법
  . 음성언어 : 1차 언어
  . 문자언어 : 2차 언어
  . 비언어적 방법
  . 동작언어 : 표정, 손짓, 발짓, 몸짓, 수화
  . 신호언어 : 깃발, 횃불, 신호, 호각소리, 나팔소리, 군호 등.

. 학자들이 말하는 언어
  . Linne(스웨덴 생물학자)
  . 인간을 언어적 인간 : Homo loquens
  . Heidegger(독일의 철학자)
  . 언어를 존재의 집 - 언어의 주택 속에 인간이 살고 있다.
  . Cassirer(독일의 철학자)
  . 인간은 언어가 형성해주는 현실만 알고 있다.
  . Chomsky(미국 언어학자)
  . 인간의 언어는 복잡하고 추상적인 것으로 인간은 무한한 언어를 창조해 낼 수 있다. - 변형생성문법론 창시
  . Sturtevant(미국 언어학자)
  . 언어는 사회집단의 구성원들이 협력하고 상호작용하는 자의적인 음성체계
  . Sapir(미국 언어학자)
  . 언어는 의도적으로 산출된 상징 기호로서,
     생각, 감정, 욕구를 전달하는 인간에게 고유하고
     비본능적인 방식(의지적인 수단)이다.
  . B.Bloch와 Tragger(미국 언어학자)
  . 언어란 자의적인 음성상징 기호 체계로서, 이것으로써 사회집단이 상호협력한다.
  . Martinet(프랑스 언어학자)
  . 언어란 인간 경험이 각 언어공통체에 따라 분석되는 의사전달의 수단이다.

. 언어의 특성 : 코넬 대학의 Charles Hackett의 6가지 인간언어의 특성
  1. 자의성(arbitrariness)
  .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필연적이 아니다. - 사회적 합의
  . '개'
     . 영어 - dog(도그)
     . 프랑스어 - Chien(시엥)
     . 독일어 - Hund(훈트)
     . 일본어 - 이누
     . 스페인어 - perro(삐로)
     . 이탈리아어 - cane(까네)
  . 의성어의 예 : 개의 울음소리(같은 소리가 다르게 틀림)
     . 한국 - 멍멍
     . 영국 - bow-wow(바우와우)
     . 스위스 - guau guau(구아우 구아우) 
     . 프랑스 - ouah ouah
     . 러시아 - gav-gav
     . 인도네시아어 - gong-gong(공공)

  2. 이중분절(double articulation)
  . 소리체계와 의미체계가 다르다.
  . 따라서 같은 수의 음으로 많은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 형태소 : 최소 의미를 지닌 소리 단위, 1차 분절
     ex) 키가 크구나. -> <키-가-크-구-나>
  . 음소 : 최소의 소리 가치를 지닌 소리단위, 2차 분절
     ex) [ㅋ-ㅣ-ㄱ-ㅏ-ㅋ-ㅡ-ㄱ-ㅜ-ㄴ-ㅏ]
  . 따라서, n, b, i라는 음이 있다면 b+i+n으로 결합되면,
     bin(상자)가 되고, n+i+b로 결합되면 nib(부리)가 된다.
  . 개의 신음소리 woof는 w, oo, f를 각각의 독립된 발음의
     요소로 볼 수 없다. 왜냐하면 oowf, foow와 같은 소리를 내어,
     그들이 각각 의미가 다른 것으로 나타나야 하는 데, 그런 사실이
     동물에게서는 없기 때문이다.
  . 음성 : phone [ ], 소리 그 자체
  . 음소 : phoneme / /, 소리 정보

  3. 창조성(creativity)
  . 제한된 어휘수로 언제나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어휘의 다른 배합으로 새로운 문장을 언제나 무한히 창조해 낼 수 있다.
  . "보라색 코끼리가 택시를 타고 가는 것을 보았다."
     . 아무도 발화해 본 사람도 들어 본 사람도 없지만 언제나 선뜻 발화할
       수 있는 문장을 생산해 낼 수 있다.
     . 촘스키는 인간은 일정한 규칙으로 무한한 수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언어능력을 기술하는 것이 언어학이라고 함.
       - Context Free Grammar
  . 동물의 경우, 어류는 10~15개, 조류는 15~25개, 포유동물은 20~40개의
     신호를 만들어 낼 수 있으나 새로운 신호를 무한히 만들어 내는 능력은
     없다.

  4. 교환성(interchangeability)
  . 화자가 청자가 되고, 청자가 화자도 될 수 있다.
     즉, 독일한 통신자가 메시지의 송신자와 수신자가 동시에 될 수 있다.
  . 동물의 경우, 송신자와 수신자의 기능이 분리된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공작새는 수컷만이 꼬리를 부채처럼 펴서 암컷에게 교신하며,
     닭도 수탉만이 울 수 있다. 많은 경우 수컷과 암컷의 통신이 구분되어 있어
     그 기능을 상호교환할 수 없다.

  5. 초월성(전위성, displacement)
  . 인간의 언어는 "지금"과 "여기"를 떠나 과거와 미래, 가까운 곳과 먼 곳에
     서 일어났던 사항들을 서술할 수 있으며, 사실무근의 "거짓말"도 할 수 있다. - 없었던 일도 꾸며냄.
  . 동물은 오로지 그 순간, 그 장소, 바로 지금에 한해서만 가능하다.
     . 새는 시간상 공간상 떨어져 잇는 위험을 알릴 수 없다.
     . Bertrand Rusell
       "개가 아무리 웅변술이 좋다해도 자기 부모는 가난했지만 정직했노라고
        짖어서 말해 줄 수는 없다."

  6. 문화적 전승(cultural transmission)
  . 유전이 아니라 학습이다.
  . 언어를 습득하는 것은 물화적 공동체 속에서 다른 화자를 통하여
     습득되는 것이지, 부모의 유전자에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지니의 예 - 14년간 부모에게 말을 들어본 적이 없음.
  . 중국어를 사용하는 중국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가 생후 즉시 미국으로
     데려가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양육된다면 영어를 사용하게 된다.
  . 동물은 새든 짐승이든 유전적으로 신호의 목록이 이미 결정되어,
     아시아의 참새나 유럽의 참새나 미대륙의 참새나 지저귀는 소리가 같고,
     참새가 까치 틈에서 자랐다고 해서 까치 소리를 낼 수 없다.

  7. 사회성
  . 언어는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 대중의 약속에 의해 이루어진 객관적인
     현상 - 예) 신조어, 통신용어, 전문용어
  . 언어사회(speech community)는 동일한 언어로써 의사소통하며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사회집단인 언어공동체 - 언어는 나타나고 사라지곤 한다.
  . 언어가 시대, 지역, 연령, 성별, 직업, 계층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이해도
     공통적인 언어생활이 유지되는 것은 언중의 언어 경험에 공통적인 현상이
     있기 때문이다.
  . ex) 무플 - 아무도 답글을 달지 않음, 무플방지위원회
         악플 - 악성답변
         얼짱, 즐, 네티즌
         오삼체 - ~하3, ~하셈, ~하삼

  8. 역사성
  . 언어가 사회 구성원간의 약속에 의해 성립되었다 하더라도 문화의 발달과
     인간 사회의 제반 요소들의 변화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한다.
     언어의 생성, 성장, 소멸, 등...
  .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어휘의 변화
     . 신생어 : 인터넷, 리플
     . 곳>곶>ㅅ곳>꽃(성장)
     . 나조(저녁), 즈믄(천)

  9. 체계성 - 문법(Grammar)
  . 언어는 음성기호와 의미와의 결합이 비록 자의적이기는 하지만
     말의 최소단위로서의 음성, 그리고 통사적 의미와 어휘적 의미를 지닌
     상위단위로서의 음성 결합체가 주어진 언어에서 결합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하나의 체계적인 질서와 일관성이 있다.
  . ex) 영어 - 전치사
         한국어 - 후치사

  10. 기호성
  . 인간이 가지고 있는 지식, 의지, 언어, 감정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음성이나 문자 등의 기호(symbol)를 언어 기호라 한다. 
  . 언어기호는 언어의 형식인 음성과 내용인 의미와의 관계를 맺고 있는
     기호로 특정한 음의 연쇄는 특정한 의미와 연합되어 잇는 기호이다.
  . 'ㅅ+ㅏ+ㄴ'이 연쇄된 [san]이라는 음성은 '산'이라는 의미와 연합되어
     있는 기호.

. 언어의 기능
  . R. Jakopson, 1960 : 러시아 출신의 미국 언어학자
    "언어학과 시학(Lingustics and poetics)"
  1. 지시적 정보기능(referential function or informative function)
  . 사물이나 현상 또는 개념 등을 '말'이라고 하는 음성신호체계로써
     전달하는 언어의 기능
  . 언어의 1차적 기능 - 메시지(message)의 진술적, 명제적 내용을 전달.
     . "비가 온다." - 메시지의 진술적, 명제적 내용을 전달
     . "야! 비가 온다."
       "제기랄, 또 비가 오네"
       - 화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정서적 내용을 전달.
  . 무엇을 전달하는 가? 주제에 초점이 있음.

  2. 정서적 표현 기능(emotive function)
  . 말하는 화자의 감정상태나 어떤 일에 대한 태도 등을 나타내는 기능
  . "야! 눈이 내린다."
  . 감탄, 독백, 자문자답, 정의적 장음을 사용하기도 함
     - "커다란 바위', '머얼리'
  . 화자에 초점이 있음.

  3. 지령적 욕구기능(directive function or conative function)
  . 화자의 전달된 내용이 청자의 감정, 행동, 이해 등에 미치는 영향을
     좌우하는 언어의 기능을 지령적 또는 욕구적 기능이라 함.
  . 청자의 반응을 기대하고 화자가 "날씨가 좋구나"라고 했을 때,
     청자에게 '외출하자'는 반응을 기대하고 발화할 수 있음
  . 청자에 초점이 있음.
     ex) "음식이 너무 싱겹네" => 소금을 달라

  4. 친교적 상황기능(phatic function)
  . 사회적 관계를 잘 맺을 수 있다.
  . 1차적 기능과는 반대로 아무 내용 없이 예의적이며 형식적으로 사용되는 표현
  . "안녕하세요?", "안녕히 계세요", "날씨가 참 좋습니다."
     "화창한 날씨군요."
  . "친애하는.."(연설문), "Dear, Mr.."(영문편지),
     Sincerely(편지의 말미)
  . 무슨 말을 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말을 한다는 그 자체의 사실이
     중요하며, 사회적 관계를 좋게 만드는 기능.

  5. 관어적 어휘 기능(meta-lingual function or lexical function)
  . 발화의 내용이 언어기호 자체에 관한 것을 지시하는 경우,
     즉, 언어표현 자체에 대해 설명하는 언어의 기능.
  . "내 말의 뜻은", "What I meat saying that was .."
  . "까투리는 암꿩이다." - 까투리의 정의
     까투리라는 생물을 지시하기 위하여 쓰이는 명칭과 개념의 복합체로서의
     언어기호로 까투리라는 단어를 말함
  . "까투리가 한 마리 있었다" (까투리라는 새를 뜻함)
  ex) "책상이 네모라는 것은 참이다."
       명제 자체를 대상으로 함.

  6. 시적 심미기능(poetic function or esthetic function)
  . 음성기호로 청자나 문자기호로 독자가 전달 내용을 감상할 수 있도록
     언어표현을 선택하는 기능
  . 시는 시 자체의 별도의 미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

. 언어학이란 무엇을 연구하는 학문?
  . 인간언어의 과학적 연구
  . 언어의 본질과 기능, 그리고 변화 등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
  . 인간은 청각적인 음성기호를 통하여 의미를 전달하며, 인간의 이러한 행위를
  객관적으로 연구 기술 할 수 있는 데 이것이 언어학이다.

. 언어학의 연구 분야

  . 일반언어학과 개별언어학
  . 일반언어학(general linguistics)
     언어의 일반적 특성을 대상, 언어의 본질, 언어의 기능, 언어의 작용 등
     언어의 일반적인 문제를 다룸
  . 개별언어학(particular linguistics)
     개별언어(영어, 국어, 불어 등, 하나의 언어)를 연구 대상으로 함.
     ex) '한국어의 구조나 변천사.'
         '영어의 구조'

  . 이론언어학과 응용언어학
  . 이론언어학(theoretical linguistics)
     순수한 언어이론을 대상 - 언어의 일반적인 원리 및 규칙을 밝히기 위해
     언어를 연구하는 분야로 언어의 구조와 그 기능에 관한 이론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응용언어학(applied linguistics)
     이론언어학의 성과를 실용적으로 응용하려는 언어학
     ex) 언어교수법, 언어활동의 장애의 원인과 치료법을 연구하는 언어병리학,
         사전학, 언어공학, 언어정보학, 자연어처리, 전산언어학 등.

  . 공시언어학과 통시언어학(시대)
  . 공시언어학(synchronic linguistics)
     일정한 시대상의 공간적 입장에서 언어를 연구
     어느 특정 시기의 언어상태를 공시태라함.
     ex) 15세기의 경기지방과 경주지방의 언어 연구
  . 통시언어학(diachronic linguistics)
     역사적 관점에서 언어를 연구(역사언어학이라고도 함), 변천사
     역사적 변천 상황에서의 언어상태를 통시태라 함.
     ex) 15~17세기 사이에 나타난 변화를 연구

  . 비교언어학과 대조언어학 - 어족간의 관계
  . 비교언어학(comparative linguistics)
     친족관계에 있는 언어들, 같은 어족에서 분화된 언어들에서 상호간의
     언어사실을 비교 연구 (계통이 같을 때)
     ex) 한국어와 몽골어의 상적 특성에 따른 연구
  . 대조언어학(contrastive linguistics)
     계통이 다른 언어의 구조적 특징을 대조하여 그 차이점을 연구
     ex) 한국어와 영어의 상적 특성에 따른 연구

  . 기술언어학과 생성언어학
  . 기술언어학(descriptive linguistics)
     주어진 언어의 특정한 시기의 언어상태를 공시적 관점에서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기술하는 언어학. - 전혀 모르는 언어를 연구할 때
  . L.Bloomfield(미국구조주의학자) - 전혀 모르는 인디언 언어를 연구
     . 의미보다는 언표에서 단위들의 위치기술에 초점이 맞춰짐.

  . 생성언어학(generative linguistics)
     인간 내부에 숨겨져있는 무한한 언어생성 능력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Chomsky)
     . 구구조규칙 + 어휘부(=사전) -> 심층구조 -> 변형 -> 표층구조
     . 변형의 예) 부정변형, 수동변형, 의문변형
     . The boy ate an apple(수동변형)
       => An apple was eaten by the boy
       . 구구조규칙
        S -> NP VP
        NP -> D NP
        VP -> V NP

. 이론언어학의 하위연구 분야
  . 음성학 : 언어에 사용되는 객관적 소리 자체인 음성을 소리내는 방법이나
  음성의 음향적 성질을 연구
  . 음운론 : 어떤 소리는 언어체계 내에서 다른 소리와 구별되어 의미를
  전달하고 언어사용자는 이를 구별하여 알 수 있다.
  언어사용자의 지식으로서의 소리 혹은 언어 체계 내에서 기능을 갖는
  소리를 음소 또는 음운이라고 하며 이를 연구
  . 형태론 : 어절/단어와 형태소의 관계 및 단어의 구조 분석 연구
  . 구문론 : 문장과 어절의 관계 및 문장 구조 분석 연구
  (통사론 - chomsky)
  . 의미론 : 하나의 문장 혹은 그 요소(형태소, 단어, 어절, 구, 절 등)의
  의미를 연구
  . 담화론 : 하나 이상의 문장들(문단)을 고려한 의미를 연구
  . 화용론 : 문장들이 나타내는 실제적 의미(의도)를 연구

. 인문학의 여러 분야와 언어학
  . 언어의 의미문제 : 철학, 논리학, 심리학
  . 언어는 사회적 현상 : 사회학
  . 언어를 통한 예술 : 문학
  . 언어는 가장 중요한 정보 : 전산언어학, 언어정보학, 언어공학
  . 외국어, 모국어 : 언어교육

이전 1 2 다음